강애란 Airan Kang
Woman Artist at the Millennium
acrylic on shaped canvas. LED light
150 x 88cm, 2014
강애란 작가는 문학, 기술, 미디어 아트를 결합해 젠더, 역사, 자유에 대한 복잡한 사회적 담론을 탐구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라이팅 북(Lighting Books) 시리즈는 책이라는 매체를 빛나는 조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LED 조명을 삽입한 이 작품들은 책이 담고 있는 지식과 이야기를 상징하면서 동시에 눈부신 변화를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여기서 '눈부신 변화'는 단순히 시각적인 효과를 넘어, 전통적인 책의 형태가 현대적 기술과 결합되면서 책이 정보의 저장소를 넘어서는 새로운 예술적 오브제로 변모하는 과정을 뜻한다. 이 과정에서 책은 더 이상 읽기 위한 도구에 그치지 않고, 관객의 시각과 감성을 자극하는 빛나는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한다.
작가는 아크릴과 플라스틱 같은 재료로 책의 구조를 세밀하게 구현해내고, 그 안에 빛을 넣어 책을 물리적·개념적 빛을 발하는 오브제로 변화시킨다. 이 작품들은 책이라는 형식을 통해 사회 정의, 자유, 그리고 소외된 목소리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그녀는 여성의 삶과 역사적 투쟁에 대한 주제를 지속적으로 다루며,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집단적 기억을 깊이 탐구한다. 개인전에서는 빛을 통해 역사 속 여성들의 삶을 조명하며, 그들이 겪었던 억압과 투쟁을 드러낸다. 강애란의 작업은 이러한 주제들을 통해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고, 감상자에게 사유와 반성을 유도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통적인 책의 형식을 현대적 기술로 재해석한 강애란의 작품은 미디어 아트와 설치미술의 진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Airan Kang masterfully combines literature, technology, and media art to explore complex social themes such as gender, history, and freedom. Her renowned Lighting Books series reimagines the traditional book as a radiant, sculptural object. By embedding LED lights into these works, Kang transforms books into symbols of both knowledge and narrative, while also highlighting a brilliant transformation. This transformation is not merely aesthetic; it represents the evolution of the book from a conventional vessel of information to an interactive, luminous art form. In Kang's work, the book transcends its functional role, becoming an object that actively engages the viewer’s senses and emotions.
Kang meticulously crafts these book forms from materials like acrylic and plastic, incorporating light to create objects that emit both physical and metaphorical illumination. Through this, she addresses themes of social justice, freedom, and the voices of marginalized individuals, using the book as a medium to tell these stories.
Her work frequently focuses on the lives and struggles of women, reflecting her engagement with feminist discourse. In solo exhibitions such as Room for Reflection and A Room of Her Own, Kang uses light to illuminate the stories of women throughout history, revealing their experiences of oppression and resistance. Her work invites viewers to reflect on these narratives, fostering empathy and deeper understanding.
By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form of the book through modern technology, Airan Kang’s work exemplifies the evolution of media art and installation, showing how art can transform everyday objects into powerful new mediums of expression.
CV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서양화전공 교수
2009 일본 다마미술대학 대학원 박사
1987 일본 다마미술대학 대학원 석사
1983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3 루미너스 아트북 프로젝트 그 찬란함의 기록, 서울 아트책보고, 서울
2022 Light, Interspace, Book, 공간타이프, LG Art Center, 서울
2021 변화의서재, 더북컴퍼니, 서울 2020 熟考의 서재, 갤러리시몬, 서울
2019 숭고-헤테로토피아 공간: 보구녀관을 복원하다, 이대서울병원 보구녀관, 서울
2016 A Room of Her Own,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5 The Luminous Poem, Bryce Wolkowitz Gallery, 뉴욕
2014 책의 근심, 빛의 위안, 갤러리 시몬, 서울
2013 The Luminous Words, Bryce Wolkowitz Gallery, 뉴욕
2012 책, 빛으로 읽다-디지털 북 도서관 프로젝트, 국립중앙도서관, 서울
2011 The Luminous Poem, 갤러리 시몬, 서울
2010 Light Reading, Bryce Wolkowitz Gallery, 뉴욕 The bookshelf enLightened, 반지 조각정원미술관, 시즈오카
2009 The Sublime -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갤러리 시몬, 서울 유토피아와 헤테로토피아의 사이, En Art 갤러리, 교토
2008 디지털 북 프로젝트, 조선일보 원 인터뷰 갤러리, 서울 H.P FRANCE BIJOUX, 동경 One Life, Some Books, 클리어 갤러리, 동경
2007 인 아트 갤러리, 오사카
2006 숭고의 방, 금호미술관, 서울 Light of the World, Light of the Intelligence, Art Front 갤러리, 동경
2005 이노필, 서울
2003 금산갤러리, 서울
2001 갤러리 Iteza, 교토 Media Shop, 교토 갤러리 Weissraum, 교토 금산갤러리, 서울 아트선재센터, 서울
2000 나디프, Viewing Room Yotsuya, 갤러리5, 동경
외 다수
주요 단체전
2022
Breaking the Borders, The Hangar, Ras Al Ain, 요르단
Art-ist Way of Seeing, Boontheshop, 서울
우리가 마주한 찰나,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21
너와 내가 만든 세상 제주, 포도 뮤지엄, 제주
Letter of Myself 산울림 아트앤크래프트, 서울
2020
너와 내가 만든 세상, 블루스퀘어 NEMO, 서울
A Larger Mind 우리가 지나쳐 온 그녀들의 공간, 이화여자대학교 ECC 대산갤러리, 서울
The Wind, 강릉아트센터, 강릉
경기별곡, 경기도박물관, 용인
내나니여자라,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이어 품다: 월락재천 수상지진전,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서울
판화, 판화, 판화, 국립현대미술관,과천
2019
여성, 세상으로 나가다, 국립여성사전시관, 고양
여성독립운동가 공감 • 기억 그리고 미래, 세종문화회관, 서울
25주년 Simon’s Friends, 갤러리시몬, 서울 여성독립운동가, 미래를 여는 100년의 기억, 국립여성사전시관, 고양
2018
세종대왕과 음악: 황종, 대통령기록관, 세종특별자치시 창원국제조각비엔날레, 창원
아티스트 프로젝트 III: 강애란,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경기아카이브 지금,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2017
덕수궁 야외 프로젝트- 빛, 소리, 풍경, 덕수궁, 서울
하나의 진실, 평화를 향한 약속,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 전북대박물관, 전주
Your Hand, My Heart, 갤러리 시몬, 서울
2016
2016 한-호 국제교류전 뉴 로맨스: 아트 앤 포스트 휴먼, 호주현대미술관, 시드니, 호주
The Power and Pleasure of Possessions in Korean Painted Screens, 찰스왕센터, 뉴욕, 미국 Center, 스토니 부룩 대학교, 뉴욕, 미국
Liber Numericus, 스테레오럭스, 낭뜨, 프랑스
2015
한-호 국제교류전 뉴 로맨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동아시아 페미니즘: 판타지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하얀울림: 한지의 정서와 현대미술, 뮤지엄 산, 원주
2014
시몬의 친구들, 20주년 기념전, 갤러리 시몬, 서울
미술과 이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한국의 초상 미술-기억을 넘어서,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부산 비엔날레 2014, 부산,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세계문자심포지아,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3
장면의 재구성 #1,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개관 기념전 소장품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힘,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가?, 소마미술관, 서울
거울사이: 무한가역성, 이화아트센터, 서울 예술-영원한 빛,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박수근 미술관에 들다, 박수근미술관, 강원 Total Support, 토탈미술관, 서울
2012
채용신과 한국의 초상미술-이상과 허상에 꽃피다, 전북도립미술관, 전주
2011
테크놀로지, 전통을 만나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Art Platform Los Angeles, 로스엔젤레스, 미국 판화와 정보,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Digital Transitions V, 갤러리 시몬, 서울
이것은 책이 아니다, 우라와 미술관 / 후쿠이 미술관, 일본 카운트다운,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0
난징 비엔날레 “And-Writers”, Jiangsu Provincial Art Museum, 난징, 중국
Eternal Blinking: Contemporary Art of Korea, 하와이대학교, 미국
Korean Art Show, La Venue, 뉴욕, 미국
Outer Body Inner Experience, Wood Street Gallery, 피츠버그, 미국
조우, 제주도립미술관, 제주도 Art @ Dibrary, 국립중앙도서관, 서울
2009
신호탄전, 국립현대미술관 기무사터, 서울
Asian Art Biennial 국립타이완미술관, 타이완
You-Ser, ZKM 아트 앤 미디어 센터, 칼스루에, 독일 WAVE, 이화미술관, 서울
7080 청춘예찬전-한국현대미술의 추억사,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경기도미술관 신 소장품 전,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Winter Garden, 갤러리 시몬, 서울 Eternal Blinking_ Contemporary Art of Korea, 하와이대학교, 미국
Blacksmith in the Neo Iron Age,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타이완 비엔날레, 대만
Textual Landscapes, Bryce Wolkowitz gallery, 뉴욕, 미국
Echigo-Tsumari Art Triennial 2009, Echigo-Tsumari, 니가타, 일본
2008
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전, 카이스트, 대전
히로시마 아트 프로젝트, 히로시마, 일본
Digital Transitions IV, 갤러리 시몬, 서울
세비아 비엔날레, 세비아, 스페인
Digital Transition, 갤러리 시몬, 서울
교수 작품전, 이화아트센터, 서울 한국현대판화전 1958-2008,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베트남 2세 후원전, 여의도, 국회의사당 Contemporary Korea Art from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주영한국문화원, 서울
2007
보다, 보여지다, 금호 미술관, 서울
책의 기억전, 헤이리 응시 나를 보다, 모란미술관, 경기도
City Fables Tina b. 2007, Eco-Technical Museum, 프라하, 체코
2006
부산비엔날레 바다미술제, SK파빌리온, 부산 Pre-국제여성미술비엔날레, 인천
The Center For Book Arts “The Only Book”, The Center For Book Arts, 뉴욕
Absolutely Private: On Photography from 2000 to the present, 도쿄 사진 미술관, 일본
2005
Kiss me long and hard, Priska C. Juschka Fine Art, 뉴욕
Hello Gutenberg, Prestel Gallery, 프랑크프르트 Going Out-Artist Book from Korea, Gutenberg Museum, 마인츠 Elizabeth Foundation for the Arts- Open Studio, EFA Center, 뉴욕 Art Cologne “Paik & Beyond-New media Artist from Korea”, Koelnmesse, 퀠른 청주 국제공예비엔날레, 청주 아트센터, 청주
With Books, 금산갤러리, 헤이리 The Magic of Art, 조선일보사 미술관, 서울
베를린에서 DMZ까지, 올림픽 미술관, 서울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rt Exposition, Hort Mason Center, 샌프란시스코
Live Pictures, Jamaica Center, 뉴욕 충무 아트홀 개관전 “오감도”, 충무갤러리, 서울
2004
The Crystal Land Revisited, Aljira Center for Contemporary, 뉴져지
The Book as Object and Performance, Gigantic Art Space, 뉴욕
The 19th Asia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후쿠오카
Six feet under make nice, White Box, 뉴욕 Beyond the Digital Surface,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Digital Utopia, Airan Kang & Julio Soto, 갤러리 코리아, 뉴욕
Vent Dest, Chapelle de la Sorbonne, 파리 The Tenant, Four Points Hotel, 뉴욕
2003
2003 서울, 아트북, 북아트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Book Project-사람을 닮은 책, 금호미술관, 서울
10년 후 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Contemporary Sculpture from Korea and China, CASO gallery, 오사카
스스로 D.I.Y. beyond instruction, 토탈미술관, 서울
Revolving Door, Chambers Fine Art Gallery, 뉴욕
Art In Architecture, Open Ended, 헤이리페스티벌, 헤이리, 파주
Stream: 다양한 흐름의 판화, 갤러리 라메르, 서울
평창동 사람들, 가나아트센타, 서울
2002
Open Studio (International Studio & Curatorial Program(ISCP), 뉴욕
위대한 유산: 할머니, 우리의 딸들을 깨우다 - 여성사전시관 상설전, 서울여성플라자, 서울
Asian Contemporary Art Week (International Studio & Curatorial Program(ISCP), 뉴욕
제2회 서울국제미디어아트 비엔날레(미디어_시티서울2002),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또 다른 미술사: 여성성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Stream: 다양한 흐름의 판화,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01
아세아 국제미술 전람회, 광동 미술관, 중국
Command "P", 사간 갤러리, 서울
상어, 비행기를 물다-색다른 일상, 진부한 일탈, 일주아트하우스, 서울
아시아 세기의 시작 - 한국미술, 오사카의 서울, CASO 갤러리 오사카, 갤러리 가제, 오사카
디지털아트네트워크, 테크노마트, 서울
디지털 시티, Space Sadi Gallery, 서울
제7회 서울판화미술제-국제판화 수상 작가전, 예술의전당, 서울
2000
신소장품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예기치 않는 방문전, 일민미술관, 서울
한국판화의 전개와 변모,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무궁화, Mount san Antonio College Museum of Art, 포모나, 캘리포니아
지성과 감성전, 예술의전당, 서울
제14회 이화판화회전, 관훈갤러리, 서울
이전 외 다수
주요 레지던시
2002-2004 인터내셔널 스튜디오 & 문화 프로그램, 뉴욕
주요 기금/기사/수상/출판 등
1994 석남미술상
1993 도쿄-마찌다 국제판화전 매상상
1988 서울국제판화 비엔날레 대상
1987 제6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대상
1986 제5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1985 제5회 현대판화 공모전 우수상
주요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 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금호미술관
토탈미술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동아일보 웅진빌딩
서울문화재단 IT센터
송도 인천 국회의원회관
ZKM 미디어미술관, 칼스루에
반지 조각정원미술관, 시즈오카
도쿄 마치다 판화 미술관
도쿄 포타칼 아트문화센터
이스탄불 일신문화재단
광주시립미술관